2009년의 전반기/수원화성 편 2009

동북노대에서 동장대 까지...

호치민의주니 2009. 4. 3. 22:36

 

 동북노대에서 보는 창룡문쪽...

 

 

 

 

 동북노대 벽사이로 보는 동북공심돈...

 

 

 

 

 동북노대에 대한 설명문이다..

 

 

 

 

 동북노대를 구경하는 관광객

 

 

 

 

 동북노대 에서 본 동북공심돈

 

 

 

 

 동북노대에서 보는 동장대..

 

 

 

 

 동북 노대를 관람 하고 나오는 관광객

 

 

 

 

 동북공심돈을 향하여...

 

 

 

 

 동북공심돈의 입구

 

 일명 소라각 이라 불리우는 동북 공심돈 입니다. 공심돈은 중국의 성제에서 힌트를 얻어 건축된 방어시설인데 중국의 경우 성을 만들기 곤란한 변방에 미니 성으로

 공심돈을 짓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한걸음 더 나아가 공심돈을 성의 중요 부위에 설치하여 높은 곳에서 적을 정찰하고 3층 포루의 역할을 겸하게 하면서 아래층 중앙

 부를 온돌을 두어 숙직실로 겸할 수 있는 하나의 시설을 3가지 용도로 사용 하면서도 방어력은 오히려 중국 전통 공심돈 보다 훨씬 높게 만드는 개량을 하게 됩니다.
 특히 동북 공심돈은 내부에서 왼쪽방향으로 진입하게 하여 적이 오른손에 무기를 들고 들어 올 경우 벽을 이용한 엄폐를 못하도록 까지 연구를 했던 건물입니다

 

 

 

 동북공심돈의 출입문

 

 

 

 

 동북 공심돈에서 본 창룡문....

 창룡문(蒼龍門)은 화성의 동문으로서 유좌(酉坐)묘향(卯向)으로 앉았다. 장안문(長安門)이나 팔달문(八達門)과 비교하여 문의 규모도 작고 형태도 간략하다.

  특히 석축 위 누각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다

 

 

 

 동북 공심돈에서 본 동장대 모습

 

 

 

 

 동북노대

 동북공심돈과 창룡문 사이 중간에 동북향하여 자리하고 있는 동북노대(東北弩臺)는 돌로된 치(雉) 위에 벽돌을 쌓아 대를 만들었다.

 군사들이 대 위에 올라서 오방색의 특정한 깃발을 흔들어 군사 명령을...

 

 

 

 연무대 국궁 체험장에서 국궁을 배워보는 사람들...

 

 

 

 

 동북공심돈에서 본 동장대, 그리고 동북포루가 보인다...

 

 

 

 

 동북 공심돈 안에 설치된 조명

 

 

 

 

 동북 공심돈에서 동장대로 향하는 일본인 관광객

 

 

 

 

 동북 공심돈에서 동장대에 이르는 성벽...

 

 

 

 

 동북 공심돈에서 보는 동장대

 

 

 

 

연무대 또는 동장대

성 동편 동북공심돈(東北空心墩)과 동암문(東暗門) 사이 넓은 곳에 자리하고 있는 동장대(東將臺)는 군사들의 훈련을 지휘한다는 뜻으로 연무대(鍊武臺)라는

다른 이름을 갖고 있다. 지형상 높은 곳이 아니어서...